목차
일본 후지산, 폭발 가능성 높아지나?
최근 일본 기상청과 전문가들이 후지산의 분화 가능성에 대한 경고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후지산은 오랜 기간 휴화산으로 여겨졌으나, 1975년 이후 활화산으로 재분류되었으며, 과거에도 여러 차례 대규모 분화를 일으킨 기록이 있다. 만약 후지산이 폭발한다면 일본 수도권 전체가 마비될 수 있다는 시뮬레이션 결과도 나왔다. 일본 정부는 이에 대한 대비책을 서둘러 마련하고 있지만, 여전히 우려의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후지산, 왜 다시 주목받고 있나?
일본의 상징이자 관광 명소로 유명한 후지산(3776m)은 과거 5600년 동안 약 180회 분화한 활화산이다. 역사적으로 확인된 마지막 대규모 분화는 1707년 호에이(宝永) 대분화로, 당시 에도(현 도쿄)까지 화산재가 날아가면서 수도 기능이 마비되었다.
그런데 최근 후지산을 둘러싼 환경 변화가 감지되면서 학계와 정부 당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
- 이상 기후로 인한 호수 수온 상승: 후지산 인근 호수들의 수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겨울에도 얼음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났다.
- 정상부 빙하 급격한 해빙: 후지산 정상부의 얼음 동굴 내부에서도 빙하가 빠른 속도로 녹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후지산 주변의 빈번한 지진 발생: 후지산 인근에서 소규모 지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마그마 활동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후지산 분화와 관련된 지각 변동
최근 후지산과 관련된 지질 변화도 감지되고 있다.
▶ 후지산 기슭에서 지표면의 팽창 관측
후지산 주변 지역의 지표면이 미세하게 팽창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 현상은 지하 마그마방(magma chamber)에 압력이 축적되면서 지표가 팽창하는 전형적인 징후 중 하나다.
▶ 후지산 내부 가스 배출 증가
후지산 정상부 및 주변 지역에서 이산화황(SO₂)과 같은 화산 가스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활화산에서는 미량의 가스 배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최근 후지산 정상과 일부 지형에서 가스 분출이 증가한 것이 관측되면서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다.
▶ 지하 마그마 이동 가능성
일부 전문가들은 후지산 지하 마그마방이 압력을 받으며 마그마가 이동 중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마그마가 상승하면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화산 폭발 가능성이 높아진다.
후지산 폭발 시 예상 피해 규모
일본 정부가 발표한 후지산 분화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1707년과 같은 규모의 분화가 발생할 경우 다음과 같은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
화산재로 인한 수도권 마비
- 분화 후 3시간 이내에 화산재가 도쿄를 포함한 수도권 전역에 도달
- 4.9억㎥에 달하는 화산재 제거 필요 (동일본 대지진 재해 폐기물량의 10배)
- 대규모 정전 및 상하수도 마비 가능성
교통 마비
- 고속도로 및 주요 도로 차단
- 화산재 1mm 이상 쌓이면 차량 운행 제한
- 철도는 0.5mm만 쌓여도 운행 중단
- 항공기 운항 불가 (화산재로 인한 엔진 손상 위험)
전문가들의 경고
후지산 내부의 마그마 축적량 증가
일본 기상청 및 여러 지질학 연구기관들은 후지산 내부의 마그마 축적량이 상당히 증가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 나가오 도시야스 교수(도카이대 해양연구소 객원교수)
- "후지산은 지난 300년 동안 분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내부 압력이 극도로 높아진 상태일 가능성이 크다."
- "일반적으로 화산이 오래 쉬면 쌓인 압력이 급격히 방출될 가능성이 높다."
- "현재 후지산은 내부에서 축적된 마그마로 인해 언제든 분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 일본 지진연구소 분석 (2023년 12월 보고서)
- 후지산 내부 마그마방의 압력이 과거 평균치보다 3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분석됨.
- 지하 15~20km 깊이에 위치한 마그마방에서 상승 움직임이 포착됨.
- 마그마가 지표 가까이 접근할수록 분화 가능성이 높아짐.
후지산 인근 지진 증가와 판 구조 변화
🔹 일본 기상청 연구팀 (2024년 1월 발표)
- "최근 후지산 인근에서 규모 3.0~5.0의 지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특히 **지하 10km 이하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지진(LF Earthquake)'**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일반적인 단층 활동이 아니라 마그마 이동과 관련된 지진일 가능성이 크다."
🔹 고토 타카시 교수(도쿄대 지진연구소)
- "난카이 해곡 대지진과 후지산 분화는 일정한 패턴으로 연결된 역사적 사례가 있다."
- "1707년 호에이 대분화 이전에도 난카이 해곡에서 규모 8.6 대지진이 발생했다."
- "미래에 난카이 해곡에서 큰 지진이 발생하면 후지산이 자극을 받아 폭발할 가능성이 높다."
🔹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 분석 (2024년 2월 보고서)
- 후지산 인근 지역의 지각 변동률이 과거 대비 1.5배 증가함.
- 후지산 근처 단층 구조 변화 및 미세 지진 활동 증가 관측.
- 이는 마그마가 이동 중이거나 지각 내부에서 변형이 진행 중일 가능성을 시사.
후지산 정상부의 가스 방출 증가
최근 후지산 정상부에서 이산화황(SO₂)과 화산 가스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화산 내부에서 마그마 상승이 진행 중일 때 나타나는 주요 징후 중 하나다.
🔹 야마모토 히로시 박사(일본 화산연구소 연구원)
- "후지산 정상과 측면 일부 지역에서 이산화황(SO₂) 농도가 2023년 대비 약 40% 증가했다."
- "이러한 가스 방출 증가는 일반적으로 마그마가 표면 가까이 이동 중일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 "화산 가스와 함께 화산 지형 주변의 온천 지역에서도 이례적인 온도 상승이 보고되고 있다."
🔹 일본 방재청(2024년 2월 발표)
- 후지산 정상부의 화산 분기구 일부에서 지표면 온도 상승 확인.
- 특정 지점에서 이산화탄소(CO₂) 및 유황가스 농도 증가 관측.
- 이는 후지산 내부에서 마그마 활동이 활발해졌을 가능성을 시사.
화산 분화 주기와 후지산의 위험성
🔹 사토 마사토시 교수(일본 국립지진연구소)
- "후지산의 평균 분화 주기는 약 300~400년이다."
- "마지막 대규모 분화가 1707년이었으므로, 현재 주기상으로도 폭발할 가능성이 충분히 높다."
- "일본 정부가 꾸준히 후지산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도 이와 같은 위험성 때문."
🔹 유럽 화산연구소(2023년 연구보고서)
- 후지산의 지질학적 분석 결과, 마그마방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 높아지면 '급격한 분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 지진과 가스 배출, 지각 팽창 현상은 모두 분화 가능성을 암시하는 중요한 신호라고 분석.
일본 정부의 대응과 대비책
일본 정부는 2014년부터 후지산 대분화 가능성을 대비한 재난대비 훈련을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후지산 화산재 예측 시스템을 기반으로 방재 시뮬레이션을 발표했다.
- 대규모 대피 훈련: 시즈오카현, 가나가와현, 야마나시현 등 인근 지역 주민 75만 명 대상 대피 훈련
- 세계 최초 화산재 보험 출시: 개인 및 기업의 화산재 피해 보상 보험 상품 도입
- 화산재 청소 및 제거 시스템 구축: 수도권 주요 도로 및 공항, 철도를 중심으로 화산재 제거 장비 배치
후지산 폭발, 한국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일본과 인접한 한국은 후지산이 폭발할 경우 다음과 같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화산재 영향: 한반도 남부 지역(특히 부산, 제주 등)은 대기 흐름에 따라 일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 경제적 여파: 일본의 교통·물류 마비는 한국의 수출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지진 및 화산 활동 연계 가능성: 후지산 분화가 난카이 해곡 대지진을 촉발할 경우 동해 연안 지역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후지산 폭발, 대비가 필요하다
현재 후지산이 즉각적인 폭발 징후를 보이고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다양한 이상 징후들이 포착되고 있는 만큼 정부와 전문가들은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과거 1707년 호에이 대분화가 난카이 해곡 대지진과 관련이 있었던 것처럼,
미래에 예상되는 난카이 대지진이 후지산 분화를 촉발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만약 후지산이 폭발할 경우, 도쿄를 포함한 수도권 전체가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전 세계 항공·물류에도 심각한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일본 정부는 이에 대한 방재 대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수적이다.
'정보 > 과학, 자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전기는 왜 생길까? 겨울에 유독 심한 정전기 원인을 알아보자 (0) | 2025.02.05 |
---|---|
상온 양자 스핀 펌핑, 스핀트로닉스의 새 지평이 열리다 (0) | 2025.02.01 |
GPU, CPU, NPU, TPU: 차이점과 활용법 간단 정리 (0) | 2025.01.28 |
운석의 가치와 발견 사례, 샬럿타운 운석 이야기 (0) | 2025.01.20 |